-
인플레이션 이란 하이퍼 인플레이션바로 조회 하기 ▼ 2020. 9. 16. 14:22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화폐 가치가 하락하며 물가가 상승하는데, 이런 현상을 인플레이션inflation이라고 합니다.
인플레이션은 사실 도둑입니다. 그것도 합법적으로 내 통장에 있는 돈을 훔쳐 가는 도둑입니다. 하지만 이 도둑이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닙니다. 이점을 가져오기도 합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다양한 원인과 그로 인해서 무엇이 좋아지거나 나빠지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언제 발생할까?일반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면 시중에 돈이 많아졌다는 증거입니다. 돈이 많아졌다는 의미는 경기가 좋아졌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경제를 분석하는 많은 사람들이 물가를 기준으로 경기를 판단합니다. 하지만 물가 상승이 반드시 경기가 좋아졌다는 신호는 아닙니다. 주변 상황을 다양하게 살펴봐야 합니다. 인플레이션이 찾아오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면서 인플레이션이 찾아옵니다. 반대로 말하자면 물건의 가격은 올라갑니다. 시중에 돈이 많아져서 아파트 가격이 많이 올라가면 사람들은 통장에 돈을 놔두는 것이 손해라고 생각합니다. 통장에 있는 돈은 그대로인데 아파트 가격은 하루가 다르게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통장에 돈은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전에는 살 수 있었던 부동산이 어느 순간 살 수 없는 가격이 되어 버립니다. 그래서 마치 돈을 도둑맞은 느낌이 드는 것입니다.
비용이 증가했을 때도 인플레이션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 아파트를 만드는 원자재 가격이 증가했다고 가정해봅시다. 전에는 아파트의 원가가 1억 원이 들었다면 원자재 가격이 상승해서 원가가 1억 2,000만 원으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건설회사는 아파트를 전보다 더욱 비싼 가격으로 팔 수밖에 없습니다. 적어도 상승한 2,000만 원만큼은 가격을 올려야 건설회사도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또한 수요가 증가하여 인플레이션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 물건의 수량은 정해져 있는데 사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면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석유나 금이 이에 해당됩니다. 지구에 석유와 금의 매장량은 정해져 있습니다. 석유와 금 수요가 늘어난다고 매장량이 늘어나지 않습니다. 수요가 증가했을 때 가격이 상승하기 쉽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양날의 검
인플레이션의 가장 큰 단점은 물건이 비싸진다는 것입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일을 해서 돈을 법니다. 대부분 소득이 갑자기 늘어나는 경우는 없습니다. 소득은 그대로인데 물가가 계속 올라간다면 실제 소득은 감소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삶의 행복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두 번째 단점은 사람들이 저축을 하려 하지 않게 된다는 것입니다. 저축을 하면 손해라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인플레이션으로 아파트와 주식이 상승하는 것을 보고 대출을 받아서라도 투자하려 들 것입니다. 잘못하면 무리하게 빚을 내서 투자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실패와 부채가 급격히 늘어나면 사회적으로도 큰 손실이 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의 장점도 있습니다. 물건 가격이 상승하니 기업들은 전보다 돈을 많이 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생산과 고용을 늘리려 할 것입니다.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기가 쉬워질 것입니다.
두 번째 장점은 자산 가격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이나 주식이 상승함에 따라 자산이 늘어난 사람들은 소비를 늘릴 수 있습니다. 소비가 늘어나면 기업들이 살아나고 일자리도 더욱 많아질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장점은 빚이 감소한다는 것입니다. 빚이 감소한다니 이상한 소리처럼 들릴지 모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어떤 사람이 100만 원을 이자 없이 빌려서 20년 뒤에 원금을 갚는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지금의 100만 원은 컴퓨터와 모니터를 살 수 있는 금액입니다. 하지만 20년 뒤에는 컴퓨터만 살 수 있는 금액이 될 수 있습니다. 100만 원의 가치가 줄어든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으로 사실상 빚이 줄어든 효과를 본 것입니다.하이퍼 인플레이션
하이퍼 인플레이션은 초超인플레이션이라고도 합니다. 1년에 수백% 이상으로 물가 상승이 일어나는 상황을 일컫는 말입니다. 중앙은행이 과도하게 통화량을 증대시킬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침에 5,000원이었던 자장면 가격이 저녁에 1만 원으로 뛴다면 하이퍼 인플레이션이라 볼 수 있습니다.
하이퍼 인플레이션으로 몸살을 앓았던 대표적인 나라가 ‘짐바브웨’입니다. 짐바브웨는 상상을 초월하는 인플레이션으로 고통받은 적이 있습니다. 2008년 1월부터 7월까지 인플레이션율이 2억%에 달했는데, 한국식으로 계산한다면 500원 하던 과자 가격이 1년 사이에 10억 원으로 폭등한 것입니다. 걷잡을 수 없이 물가가 상승한 탓에 짐바브웨 정부는 결국 화폐 발행을 금지하고 달러를 통화로 사용하는 것을 택했습니다.'바로 조회 하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은행 직장인 신용대출 최신 버전 (0) 2020.09.17 디플레이션이란 개념 잡기 (0) 2020.09.16 ELS란 ELF란 (0) 2020.09.16 부동산 경매 간단 설명 - 개념 잡아가세요 (2) 2020.09.15 LTV와 DTI 비교 (0) 2020.09.15